이 블로그 말고 다른 블로그를 운영하며 애드센스를 시작해놓고
꽤나 오랫동안 포스팅 20개 정도인 상태로 방치를 했는데
1년동안 50달러정도가 광고 수익금으로 쌓여있었다.
내가 한거라고는 엑셀 함수 설명이나 오류가 발생했을때 해결방법 그리고 일상적인 글들 뿐이였는데
어느 누군가는 그 글을 읽고 글 주변에 나타난 광고를 클릭하고
그 광고에 대한 비용을 구글이 받고 나는 구글과 광고비를 나누어 가진것이다.
본격적으로 블로그를 관리하면서 드는 생각은
모든 인터넷을 포함해 블로그, 유튜브 등 세상 모든게 그냥 거대한 광고판이구나 하는 생각이다.
티스토리는 자신들이 서비스하는 블로그 시스템에 광고를 붙이게 해줌으로써 더욱 많은 사람들이 티스토리라는 시스템 안에 새로운 정보와 이미지를 저장하게 하고
구글은 어느곳이든 광고를 볼 수 있는곳에 광고를 달아주고 그 광고가 효과가 있으면 나누어 가지는 플랫폼을 소유하고 있다.
정말 엄청난 선순환이 아닐까 한다.
당장 유튜브에 있는 수많은 영상과 음악들이 시작될때 혹은 재생중에 광고를 보여주고 우리는 그 광고를 통해 소비를 하고 있으니까 말이다.
물론 덕분에 늘어나는 쓰레기 데이터도 엄청나겠지만 말이다.(이 글 역시 그런거라고 봐야할꺼같다)
그렇다면
이 선순환에서 돈을 벌 수 있는 방법이 도대체 뭐가 있을까 하는 생각이 들곤한다.
블로그 운영이 돈이 되는건 맞지만 월급 수준으로 벌기 위해서 도대체 얼마나 많은 포스팅을 해야하며,
얼마나 도움안되는 글이 많이 생산될까 라고 말이다.
당장 애드센스의 경우 어느정도 유효한 데이터를 가지지 않은 블로그에 대해서는 승인을 안해주고 있고
유튜브는 이제 구독자 1000명과 일정 시간이상의 재생시간을 가지지 않으면 유튜브 영상에 광고를 달 수 없도록 해놓았다.
어찌보면 넘처나는 쓰레기 데이터를 줄이기 위한 고육지책이 아닌가 싶다.
여튼
내가 블로그에 남들이 좋아할만한 혹은 관심을 가질만한 글을 얼마나 올릴 수 있을까 하는 생각도 들고
이걸 사업적으로 할 수 있는 방법은 뭐가 있을까 라는 고민이 계속된다.....
'잡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보다트 탈모약 7년차 후기 (0) | 2019.03.06 |
---|---|
일본 기상청 주소, 윈디 주소, 한국 기상청 주소 (0) | 2018.08.20 |
자동차 종합검사 후기(강남자동차검사소) (0) | 2018.07.03 |
재무팀은 무슨일을 하나요?(5) 공시 (2) | 2018.06.28 |
재무팀은 무슨일을 하나요?(4) 내부회계 (0) | 2018.06.28 |
댓글